Hung Sa Dahn | Los Angeles Conservancy
Hung Sa Dahn, https://www.redfin.com/CA/Los-Angeles/3423-S-Catalina-St-90007/home/6885048

Hung Sa Dahn

Ahn Chang Ho,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prominent leader of the early Korean American community in the U.S., founded Hung Sa Dahn in San Francisco in 1913. The organization’s mission was to build civic and political leadership capacity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from Japanese colonial rule (1910-1945). Ahn’s teachings beyond the goal of independence promoted Korean sovereignty through democracy. Its membership was varied, consisting of day laborers, farmworkers, and shopkeepers, as well as ambassadors and diplomats. 

When Ahn and his family moved to Los Angeles in 1914, Hung Sa Dahn’s headquarters moved to Los Angeles. It first operated out of the Ahn family home at 1411 West 4th Street, then by 1917 at 106 North Figueroa Street (neither buildings are extant). The property at 3421 South Catalina Street was leased by Hung Sa Dahn in 1929, then purchased in 1932 as its first standalone headquarters.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초기 미주 한인사회의 중요한 지도자인 도산 안창호 선생은 1913년에 샌프란시스코에서 흥사단을 창립했다. 단체의 목적은 일본 식민지 시대(1920 – 1945)때 조국의 독립운동을 이끌어 나갈 민주적이고  정치적 지도력을 겸비한 인물을 배양하기 위해서였다. 도산 선생의 가르침은 조국의 독립이라는 목표를 넘어서 우리 국민들 스스로 민주적 시민의식의 함양을 통해 조국의 주권을 회복시키는데 있었다. 흥사단의 단우 회원들은 외교관은 물론 일용직 노동자, 농장 노동자와 상인등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흥사단 본부는 1914년 도산 선생과 가족이 로스엔젤레스로 이주했을때 함께 이전했다. 첫 단소로 도산 선생 가족의 주거지인 1411 West 4th Street 건물을 함께 사용하였고, 이후 1917년에는 106 North Figueroa Street에 위치한 건물을 단소로 사용하였다. (현재 두 건물 모두 남아 있지 않다.) 3421 Catalina에 위치한 건물은 흥사단이 1929년에 임대하기 시작했고 1932년에는 첫 독자적인 본부 건물로 사용하기 위해 매수했다 .

 

Thank you to CalState students in Maya Santos' Community Impact Media course for their work to produce this video about Hung Sa Dahn in partnership with Hauser and Wirth, Asian Pacific Islander Americans in Historic Preservation (APIAHiP), and Hung Sa Dahn community members. 

Hung Sa Dahn’s membership grew as the Korean community in Los Angeles began expanding and coalescing southward in the neighborhood surrounding USC in the 1920s and 1930s. USC students, both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and international students from Korea, were among its members. Men and women alike were welcomed to join the organization, reflecting Ahn’s progressive views and belief that gender equality would contribute to better outcomes for society at large. 

Given the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nd lack of opportunity to purchase property, the economic situation for many Korean immigrants in the community was dire, particularly as they grew older. One of Hung Sa Dahn’s functions was to provide housing assistance to members who needed it, particularly local university students and elder founding members. Three bedrooms were located upstairs on the second floor, while the downstairs contained a large meeting room, office, kitchen, and guest bedroom.

In 1958, the organization further expanded its capacity by constructing a detached two-story duplex to the rear of their existing building. The intent was to provide housing for elder founding members of the organization. Plans for the project were approved in 1958, with a valuation of $10,000, a significant sum at the time. Dr. Marn Cha, professor emeritus of political science at California State University, Fresno, arrived from South Korea in 1957 to attend USC, and was inducted as a Hung Sa Dahn member in 1960. He recalls that an elderly couple, who he believed were founding members, lived in one of the two units.

Hung Sa Dahn continued to serve as a political voice following liberation. South Korea experienced political and social turmoil in the 1950s-1980s, both on account of the Korean War and subsequent authoritarian rule, which ran counter to Hung Sa Dahn’s core philosophies. The organization’s focus turned to promoting democratic governance through education and study of Ahn Chang Ho’s teachings, which were believed to be universal and applicable in a variety of political contexts. Therefore, although Hung Sa Dahn’s sphere of influence shifted, it did not wane. 

In 1979, the Hung Sa Dahn property was sold by the organization for financial reasons. The organization is still in active operation today throughout its 35 chapters in South Korea, the U.S., and elsewhere in the world.

역사:

한인사회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로스엔젤레스 남쪽인 USC 대학 인근으로 확장 됨으로 해서 흥사단의 단우 회원수도 늘어났다. 흥사단이 성장해 나가면서 한인 2세와 유학생들로 구성된 USC 재학생들이 가입하기 시작했다. 도산의 진보적인 관점과 성평등이 더 좋은 사회를 만든다는 신념에 따라 여성과 남성 모두 차별없이 단체활동에 참여 할 수 있었다.

취업차별과 부동산 구매의 기회 부족으로 인해 지역사회의 많은 한인 이민자들은 경제 상황이 매우 힘들어 졌는데, 특히 이들이 나이가 들어가며 그 어려움은 더해져 갔다. 흥사단의 역할 중 하나는 형편이 어려운 단우들에게 숙소를 제공하는 것이 었는데, 특히 주변 대학의 학생들과 고령의 창립 단우들이 많은 도움을 받았다. 당시 단소 2층은 침실 3개로 이루어져 있었고, 1층에는 큰 모임장소, 사무실, 부엌 그리고 객실등이 마련되어 있었다.

1958년 흥사단은 더 많은 인원을 수용하고 특히 고령의  창립단우들에게 숙소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관 뒤쪽 마당에 2층으로 된 듀플렉스 건물을 짓게 되었다. 당시로는 상당한 금액인 $10,000 의 감정가격이 들어가는 이 프로젝트 계획서가 1958년 최종 승인되었다. 칼스테이트 프레즈노 대학의 정치학 명예교수인 차만재박사는 1957년 한국에서 USC로 유학을 왔고 1960년 흥사단 단우로 입단하였다. 차박사는 그 당시 창립단우인 고령의 부부가 두 유닛중 한 유닛에서 살았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흥사단은 해방 이후에도 계속해서 정치 사회적 참여 활동을 지속해 왔다. 남한은 1950년 부터 1980년대 사이에 6.25전쟁과 이후 독재정권에 의한 사회 정치적 혼란을 겪었는데 이런 상황은 흥사단의 근본 철학과 상반되는 것 이었다. 이 시기의 흥사단 운동은 시민 교육과 더불어 여러 가지 정치상황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산 선생의 가름침을 심화시켜 독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 쪽으로 그 촛점을 맞추어 나갔다. 따라서 이러한 급변하는 시대 상황의 변화에 맞추어온 흥사단 운동은 새로운 지평으로 그 영역을 확대 이동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978년에 흥사단은 경제적 이유로 미주 단소를 매각하였다. 흥사단은 현재 한국,중국 상해와 미국 등 35개의 지부를 통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3421 South Catalina Street has been identified in SurveyLA’s Korean American Historic Context Survey as eligible for listing as a Los Angeles Historic-Cultural Monument (HCM) as the longtime headquarters of Hung Sa Dahn, a significant Korean American civic organization in Los Angeles. The property at 3421-3423 South Catalina Street is considered by historians and historic preservationists as the most significant unprotected Korean American heritage property in Los Angeles.

The property meets “Historic-Cultural Monument Criteria 1” as it exemplifies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broad cultural, economic, or social history of the nation, state, city, or community. The site at 3421-3423 South Catalina Street is exemplary as a rare and enduring Korean American institutional property in Los Angeles. 3421-3423 South Catalina Street was the location from which Hung Sa Dahn operated from 1929 to 1979, which is the period of significance for the property. The buildings are extant, intact, and rare examples of early institutional properties associated with Korean American immigration, settlement, and development in Los Angeles.

The property also meets “Historic-Cultural Monument Criteria 2,” for its direct association with the life of historic personage, Dosan Ahn Chang Ho, a singularly important figure in Korean American history at the local, state, and national level, and in modern Korean history more broadly. Although Ahn was imprisoned abroad in Korea at the time of Hung Sa Dahn’s acquisition of the property in 1936 and died two years later before he could return home to Los Angeles, he and his teachings are integral to the organization’s existence over its 108-year history, including its period of significance at 3421-3423 South Catalina Street. Furthermore, the building’s acquisition was facilitated through his direct efforts and served as the first and only standalone headquarters of Hung Sa Dahn in Los Angeles.

중요성:

3421 South Catalina Street 건물은 중요 한인 단체인 흥사단의 본부로 오랜 세월 사용되어진 건물이기 때문에 Survey LA’s Korean American Historic Context Statement에 사적지 지정 자격이 있는 건물로 등재되어 있다. 역사학자들과 사적지 보호운동가들은 3421 South Catalina Street에 위치한 흥사단 옛 단소를 LA에 위치한 미주 한인 문화유산중 사적지로서 보호 받지 못한 유산중 가장 중요한 건물이라는 데 있어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이 건물은 국가, 주, 도시, 지역사회의 문화, 경제, 사회 역사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답지하고 있는 만큼 “사적지 자격 기준 1” 을 충족시킨다. 3421-3423 South Catalina Street 건물은 매우 희귀하며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재미한인기관의 건물의 전형적 예가 된다. 3421-3423 South Catalina Street 건물은 1929년 부터 1979년 까지 흥사단이 운영한 건물이다. 건물들은 아직도 온전한 상태이며 초기 미주 한인의 LA 이민, 정착, 발전과정을 담고 있는 보기 드문 한인 단체 건물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 건물은 역사적 인물인 도산 안창호 선생과 직접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사적지 자격 기준 2” 도 충족 된다. 도산 선생은 지역 및 국가적 차원에서의 미주 한인역사에 각별히 중요한 인물일 뿐 아니라 현대 한국역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인물이다. 도산의 가르침은 3421-3423 South Catalina Street에서의 소중한 시간을 포함한 흥사단 108년 역사를 지탱해온 원동력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건물의 매입은 도산 선생의 직간접적인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으며 흥사단이 LA에서 처음으로 독자적으로 소유했던 본부건물이었다.

 

Photo by Sean_Yoda_Rouse on Flickr

Regent Theatre

The Regent is one of only two survivors of Main Street’s early entertainment heritage.
Photo by Adrian Scott Fine/L.A. Conservancy

Paul Revere Williams House

For thirty years, Paul Revere Williams and his wife Della Mae resided at this modest house in the West Adams area of South Los Angeles. The house represents an important period of Williams' life and career when he was ascending the architecture profession.